- oraclejdk
- 디자인패턴
-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
- restcontroller
- 옵저버패턴
- 무료 아이콘 폰트
- QueryDSL
- kotlin
- Openjdk
- 라즈베리파이
- Spring
- openapispec
- remix icon
- EntityGraph
- Observer Pattern
- java
- fontawesome
- 도커
- 폰트어썸
- 리믹스아이콘
- with jdk
- arc browser
- spring cloud contract
- springboot
- restdocs
- java_to_kotlin
- Docker
- 전략패턴
- Spring Cloud
- OneToMany
- Today
- Total
< Dev-Kidult />
About docker(도커) #2 설치부터 실행까지 for MacOS 본문
이전글도 있어요
About docker(도커) #2 설치부터 실행까지 for MacOS
//글쓴이가 맥북이라 맥os에서 진행을 합니다.
우선 설치를 하려면 docker홈페이지부터 들어가야겠죠?
이 링크를 클릭하고 들어가셔서 자신의 OS에 맞게 클릭을 하시면 (전 Mac을 클릭했습니다)
이런 화면을 볼 수 있으실껍니다.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 Get Docker를 클릭하셔서 다운로드를 시작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다운로드가 완료가 되어 실행시키게 되면 어느 어플리케이션설치와 동일하게 드래그 앤 드랍으로 옮겨주시면 끝입니다.
그리고 실행을 시켜주게 되면 상단에
고래 등에 컨테이너가 쌓인 아이콘을 보실 수 있게 됩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여 간략하게나마 GUI를 이용하여 docker에 관한 정보들이나 설정들을 만져 줄 수 있게 됩니다.
물론 터미널로도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컨테이너를 띄우거나 이미지를 만들고 받는데 있어서 터미널을 자주 이용하게 될텐데 터미널 환경에 익숙해지면 좋습니다.
그럼 이제 도커 컨테이너를 띄워봅시다.
그전에 컨테이너를 띄우기 위해서는 도커이미지가 필요하며 dockerHub에 가면 이미 만들어져 있는 많은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단 기본적으로 운영체제가 필요하니 우분투를 띄워보는걸로 하겠습니다
일단 이미지를 다운받아봅시다. 터미널을 키고
docker pull ubuntu:16.04
를 입력하면 우분투 16.04 버전의 이미지가 다운받아질껍니다.
ubuntu:16.04에서 앞은 이미지이름을 : 뒤는 버전을 써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docker images를 입력하게 되면 자신이 다운받은 이미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방금 ubuntu 이미지를 다운받았으니 다음과 같이 뜰겁니다.
이제 이미지가 구비되었으니 컨테이너를 띄워보도록 해봅시다.
기본적으로 컨테이너 실행은 docker run으로 실행시키게 되며 옵션으로 -it는 터미널사용을 위한것이며, -p는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를 연결해 주는것이고,
--name은 컨테이너에 이름을 지어주는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행시킬 이미지이름을 적어주는것으로 컨테이너를 실행시킬수 있습니다.
실행시키고나서 빠져나올때는 간단하게 exit를 치고 나오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생성시킨 컨테이너의 목록들을 보려면
docker ps -a 라고 입력하면 되고 만약 여기서 -a 옵션을 빼게 된다면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만 목록에 나오게 될 것입니다.
기타 명령어나 정보들은 docker레퍼문서에 정리가 잘 되어 있으니 참조하시고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개발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난감프로젝트] - 1. 개인서버를 구성해볼까? (0) | 2022.08.08 |
---|---|
aws cli를 사용해보자 (0) | 2021.03.23 |
디자인 패턴 - 옵저버패턴(Observer pattern) with pull (0) | 2019.07.22 |
디자인 패턴 - 옵저버패턴(Observer pattern) with custom (0) | 2019.07.22 |
About docker(도커) #1 docker란? (0) | 2018.08.01 |